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코스피 사이드카 발동 기준, 효과 자세히 알아보기

by 멀리서 보면 모두 푸른달 2025. 4. 9.
사이드카 발동이란? 코스피 조정 사례로 살펴보기

 

 

주식 시장에서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장치가 존재하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사이드카(Sidecar)'입니다. 사이드카는 선물 시장과 현물 시장의 급등락을 막기 위한 일종의 안전장치로, 단기적인 시장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이드카가 발동되는 이유, 그 효과, 그리고 실제 코스피 조정 사례를 통해 이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코스피 사이드카 발동

 

 

 

 

 

 

 

 

 

 

 

 

 

 

사이드카란 무엇인가?

 

사이드카는 선물 가격이 급등 또는 급락할 경우, 현물 시장의 과도한 출렁임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 프로그램 매매를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조치를 말합니다.

 

 

 

 

 

 

 

 

 

사이드카 발동 기준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사이드카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발동됩니다.

  • 코스피 시장: 코스피200 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될 경우 프로그램 매매가 5분간 정지됩니다.
  • 코스닥 시장: 코스닥150 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6%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될 경우 프로그램 매매가 5분간 정지됩니다.

사이드카는 하루 한 번만 발동될 수 있으며, 장 마감 40분 전 이후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여기서 참고: 한국거래소 사이드카 설명 

 

 

 

 

 

 

 

 

 

 

 

 

사이드카 발동의 효과 

 

사이드카의 주된 목적은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줄이고 투자자들에게 냉정한 판단을 할 시간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 시장 안정화: 단기적인 패닉 셀링(panic selling)이나 과도한 투기적 매매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투자자 심리 조정: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찾을 시간을 줍니다.
  • 추가적인 급등락 억제: 프로그램 매매가 일시 정지되면서 시장이 더 큰 폭으로 출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이드카가 발동된다고 해서 주가의 흐름이 완전히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 시장이 다시 개장한 후에도 같은 방향으로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이드카는 일시적인 완충 역할에 가깝습니다.

 

 

 

 

 

 

 

 

 

코스피 사이드카 발동 사례 

 

사이드카는 시장이 극단적인 변동성을 보일 때 주로 등장합니다. 대표적인 발동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사이드카 발동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리먼 브라더스 파산 여파로 전 세계 증시가 급락하면서 한국 증시도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2008년 10월 6일, 코스피200 선물이 급락하면서 사이드카가 발동되었습니다.

이후에도 연이어 사이드카와 서킷 브레이커가 동반 발동될 정도로 시장 불안이 극심했습니다.

결국 코스피는 2008년 한 해 동안 약 40% 이상 하락했습니다.

 

👉 관련 기사: 2008년 금융위기와 사이드카 발동 사례

 

2.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주식 시장은 전례 없는 충격을 받았습니다.

2020년 3월 13일, 코스피200 선물이 급락하면서 사이드카가 발동되었습니다.

같은 달 19일에도 추가적인 폭락이 발생하며 사이드카가 다시 발동되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서킷 브레이커까지 연달아 발동되었으며, 코스피는 단기간에 30% 이상 폭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관련 기사: 코로나19와 사이드카 발동

 

3.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글로벌 금융 시장이 출렁였습니다.

코스피200 선물 시장에서도 큰 폭의 하락이 발생해 사이드카가 발동되었습니다.

이때 투자자들은 패닉 상태에 빠졌고, 증시는 단기적으로 큰 조정을 받았습니다.

 

👉 관련 기사: 우크라이나 전쟁과 증시 변동

 

 

사이드카의 한계점 

 

사이드카가 시장 안정화 역할을 하긴 하지만, 한계점도 존재합니다.

 

 

 

 

 

 

 

 

 

  • 일시적인 효과: 사이드카는 단지 프로그램 매매를 일시적으로 중지할 뿐, 근본적인 시장 변화를 막을 수는 없습니다.
  • 패닉 심리 완화 부족: 투자자들이 극도로 불안한 상태에서는 사이드카 발동 이후에도 매도세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 변동성 심화 가능성: 사이드카 해제 이후 오히려 변동성이 더욱 커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사이드카는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는 중요한 안전장치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시장의 흐름을 바꾸는 역할은 하지 못하며, 단기적인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에 불과합니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팬데믹,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사건으로 인해 사이드카가 여러 차례 발동된 바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사이드카 발동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고, 시장 변동성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추가 참고 자료:

한국거래소 공시

 

네이버 금융